작성자   천일그룹  연락처   0231441001
작성일   2023-03-23 오후 2:04:50 E-mail

  webmaster@chunilgroup.com
글제목   지난해 유럽 3대항 ‘컨’물동량 5% 감소…“러우전쟁·물가상승등 영향”


지난해 네덜란드 로테르담, 벨기에 앤트워프·브뤼헤, 독일 함부르크 등
유럽 3대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우크라이나 사태와 높은 인플레이션(물가
상승) 여파로 부진했다. 유럽의 급격한 물가 상승은 해운시장의 뇌관을 건
드리는 악재로 작용했다. 지난해 7월 영국의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
10.1%를 기록, 40년 만에 두자릿 수로 급등하며 수요 부진에 영향을 끼쳤
다. 독일의 소매판매도 1년 전 같은 시기에 견줘 10% 감소하며 집계 이래
최대 하락 폭을 띠었다.

엎친 데 덮친 격으로 유럽 항만 곳곳에서 물가 상승에 따른 임금 인상을
요구하는 노조 파업이 잇따르면서 물류 차질을 빚었다. 벨기에 앤트워프·
브뤼헤항을 포함해 독일 함부르크와 빌헬름스하펜 브레머하펜 등에서 수차
례 파업이 발생했다. 일부 항만에선 화물의 장기 적체가 심해지자 공 컨테
이너 반납을 제한하거나 장기 보관하는 수입 화물에 대해 추가 요금을 일
시 부과하기도 했다.

각 항만당국에 따르면 유럽 3대항의 전체 컨테이너 물동량은 20피트 기준
전년 대비 5.0% 후퇴한 3630만TEU로 집계됐다. 네덜란드 로테르담항이
1450만TEU, 벨기에 앤트워프·브뤼헤항이 1350만TEU, 독일 함부르크항이
830만TEU를 처리, 나란히 1년 전보다 약 5% 감소한 실적을 냈다.

로테르담항의 경우 수입화물은 재작년 795만5000TEU에서 지난해 750만
6000TEU로 5.7%, 수출화물은 재작년 734만5000TEU에서 작년 695만TEU로
5.4% 각각 후퇴했다. 지난해 중량 기준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1억3966만t을
기록, 2021년의 1억5449만t에서 9.6% 감소했다. 빈 컨테이너 처리량이 늘
어난 데다 컨테이너 단위당 평균 적재중량이 줄어드는 물류 추세가 반영됐
다는 분석이다.

로테르담항만청은 “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러시아에 대한 제재 조치로
로테르담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의 8% 이상을 차지했던 러시아 관련 컨테이
너 물동량이 운송 차질을 빚었다”며 “4분기엔 높은 재고 수준과 인플레
이션에 따른 소비 위축, 선사들의 선박 기항 감소 등이 물동량 부진의 또
다른 요인으로 지목됐다”고 밝혔다. 로테르담항 기항 선사들이 운항 일정
을 맞추고자 체선이 심한 대형 항만 기항 횟수를 줄이고 한 번에 많은 화
물을 하역하는 방식으로 서비스 전략을 전환하면서 작년 상반기 로테르담
항 입항 선박은 5.5% 감소한 반면 선박당 처리한 물동량은 6.1% 늘어난 것
으로 집계됐다.

유럽에서 두 번째로 큰 컨테이너 항만이 된 앤트워프·브뤼헤항도 전년 대
비 5.2% 쇠퇴한 1350만TEU를 처리했다. 이 중 앤트워프항은 약 1200만TEU,
브뤼헤항은 약 150만TEU를 각각 처리했다. 컨테이너 혼잡 문제가 3분기 이
후 완화됐지만 에너지 가격 상승과 경제적 불확실성 여파로 수요가 줄어든
게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다. 특히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여파로 두 항
만은 지난해 러시아와 연관된 운송량은 59% 추락했다.

다만 로테르담항과 달리 앤트워프·브뤼헤항의 선박 기항 횟수는 더 늘어
났다. 작년 1~11월 1만8000TEU급 이상의 만재 컨테이너 선박 기항 횟수는
전년 동기 대비 31.2% 증가했다. 두 항만의 터미널은 아시아-북유럽 항로
에서 늘어나는 대형 선박의 물동량을 처리할 수 있도록 최대 처리능력으로
운영되고 있으며, 추가 컨테이너 터미널 등 항만 인프라 개발에도 적극 나
서고 있다.

앤트워프·브뤼헤항만청 측은 “향후 두 항만의 물동량과 부가가치 창출은
상호보완성을 갖춘 통합항만으로서 큰 도움이 될 것”이라며 “올해도 적
극적인 투자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초점에 둔 프로젝트 실시로 10년 720만
TEU 처리능력을 확충할 계획”이라고 전했다.

함부르크항, 러시아 교역량 순위 27위…13계단 떨어져

독일 함부르크항이 처리한 지난해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 대비 5.1% 하락
한 830만TEU를 기록했다. 잦은 임시결항(블랭크세일링)과 파업, 더불어 우
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등이 저조한 실적의 배경이 됐다. 특히 환적 물량이
유독 부진했다. 수출입과 환적 물량은 각각 540만TEU 290만TEU로 0.9%
12.1% 후퇴했다. 전체 컨테이너 처리량 감소 비중의 90% 이상이 환적 물량
이었다.

함부르크항만청에 따르면 함부르크항과 재작년 거래량이 네 번째로 많았던
러시아가 지난해 두자릿수 감소폭을 보이며 27위까지 추락했다. 중국, 미
국, 싱가포르 등 거래가 많은 주요 상위국과의 교역량 부진도 뼈아팠다.
함부르크항과 최다 물동량을 교역하고 있는 중국은 지난해 246만TEU를 기
록, 1년 전보다 3.8% 후퇴했다. 2위 미국과 3위 싱가포르는 각각 60만
5000TEU 42만3000TEU로 2.1% 1.1% 후퇴했다.

한편 지난해 1만TEU급 이상의 대형 컨테이너선의 함부르크항 총 기항 수는
전년보다 1.2% 줄어든 486척이었다. 1만4000TEU급 이상 초대형 선박의 기
항 횟수가 늘어났으나 1만~1만3999TEU급 선박의 기항 횟수가 대폭 줄어든
게 영향을 끼쳤다. 1만8000TEU급 이상의 초대형 선박은 총 234회 기항하
며, 전년보다 6% 늘어났다. 이어 1만4000TEU~1만7999TEU급 선박의 기항 건
수도 5% 증가했다. 다만 1만~1만3999TEU급 선박의 기항 횟수는 16.6% 감소
했다.

< 홍광의 기자 kehong@ksg.co.kr >